칭찬에 인색한 한국과일본
일본 회사를 정년퇴직한 경험을 바탕으로
써봤습니다.
일본에서는
남자 부하는 5번중 4번을 꾸짖고 한번을 칭찬
여자부하는 4번을 칭찬 하고 한번을 꾸짖어야됨.
그리고 먼저 칭찬을 할때 생각해봐야될점을 요약해
봤습니다.
칭찬의 기술: 한국인의 관계 중심 문화와
효과적인 소통법
1. 칭찬의 방식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
어릴 때부터 "머리가 좋다"라는 칭찬을 받으면,
아이들은 자신의 재능을 강조하게 되어 노력의 중요성을
간과할 가능성이 큽니다.
반면,
"너 많이 노력했구나"라는 칭찬을 받으면
노력을 중시하는 태도가 형성되어 지속적인 성과
유지가 쉬워집니다.
기업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직원이 좋은 성과를 냈을 때, **"이 일이 잘되었구나"**라고
칭찬하는 것은 성과에 대한 기여도를 모호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올바른 칭찬 예시:
"00야, 네가 이 일을 정말 잘 처리했구나!" "
네 노력 덕분에 프로젝트가 성공했어. 정말 수고했어!"
이처럼 주어에 이름을 포함하고, 노력의 가치를
강조하는 칭찬이 더 효과적입니다.
2. 무의식 속 칭찬이 긍정적인 행동을 유도한다
사람들은 자신이 스스로 인식하지 못한 긍정적인 행동에
대해 칭찬받을 때, 해당 행동을 더욱 강화하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불량해 보이는 학생이 노인을 부축하는 모습을 보고
**"네가 보기보다 참 따뜻한 마음을 가진 사람이구나."**라고 말하면,
그는 스스로의 긍정적인 측면을 발견하고
이를 더욱 발전시키려 합니다.
효과적인 무의식 칭찬 예시:
"평소 조용하지만, 남을 배려하는 네 모습이 인상적이야."
"너의 작은 행동이 주변 사람들에게 큰 힘이 돼!"
3. 관계 중심 문화와 칭찬의 중요성
한국인은 관계주의 문화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개인보다 주변과의 관계를 중시하는 특징을 뜻합니다.
예를 들어,
원숭이, 곰, 바나나 중 관련 있는 것을 묶으라고 하면,
한국인은 **"원숭이와 바나나"**를 선택합니다.
유럽의 심리학자들은 이를 이해하지 못하고
**"원숭이와 곰"**을 선택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나와 우리는 당연하다고 생각하겠지만..
유럽의 심리학자는 이 결과를 보고 의아해하고
이해를 하지 못합니다.
생물학적으로 원숭이와 곰은 동물이고
바나나는 식물 이므로 당연히 원숭이와 곰을
함께 묶어야 한다고 생각하죠.
이해를 못하는 정도가 아니고 유럽의 심리학자들은
화를 내기까지 하죠?
너네 한국은 전 세계에서도 제일 많이 공부를 하지
않냐!
왜? 원숭이와 곰 동물끼리 묶지 않고
동물과 식물(원숭이와 바나나)을 묶을 수 있어?
하고요..
너희는 생물은 공부 안 하냐!?
하지만 우리나라 생물학자를 100명 모아 놓고
같은 질문을 해도 90% 이사은 원숭이와 바나나로
묶을 것입니다.
그대답은 동물식물 이전에 원숭이와 바나나는
모정의 관계가 있다고 답하겠죠.
그렇습니다.
우리나라는 ''관계주의 문화''입니다.
일본 같이 ''집단주의 문화''가 아닌 것이죠.
집단주의는 집단이 곧 자기 이기 때문에 내가 속해 있는
집단이 곧 자기인 것 이죠.
즉, 자기보다 집단이 더 중요한 것이죠.
그래서 속해 있는 집단이 괴멸하면 극단적인 선택을
하게 되는 것이죠.(자살행위)
2차 세계대전에서 일본의 가미가제 같은 것은 용감한 게
아니고 집단주의에서 나온 극단적인 행동 이죠.
집단주의에 사람들은 집단이 소멸되면
자아도 같이 소멸하는 것이죠.
정상적인 한국인은 집단 주위가 아니고
관계주의를 중요시합니다.
가족 형제 친구들과의 관계이죠.
이런 관계주의 사람들에게서는 집단이 무너 졌다고?
자아가 같이 무너지는 것을 이해할 수 없는 것이죠.
관계주의 문화의 특징:
우리는 **집단주의(예: 일본)**가 아닌
관계주의를 기반으로 행동합니다.
개인보다 친구, 가족, 학교와의 관계를 중요하게 여깁니다.
**나보다는 '우리'**라는 표현을 더 자주 사용합니다.
4. 칭찬할 때 관계를 함께 고려해야 하는 이유
한국인에게 칭찬할 때는 개인뿐만 아니라
그가 속한 관계도 존중해야 합니다.
잘못된 칭찬 예시:
"요즘 젊은 사람들 같지 않게 열심히 하네.
" 이 칭찬을 들은 사람은 자신과 같은 세대의 사람들과
관계를 맺고 있기 때문에
**"나는 언제든 다른 젊은 사람들처럼 될 수도 있겠구나"**라는
불안을 느낄 수 있습니다.
올바른 칭찬 예시:
"요즘 젊은이들이 다 열심히 하지만,
너는 특히 성실하고 책임감이 있구나!"
5. 한국인의 관계 중심 문화를 이해하고 활용하는 법
이름을 넣어서 칭찬하라
"민수야, 네가 이 프로젝트를 잘 마무리했구나!"
노력에 집중한 칭찬을 하라 "많이 노력한 게 느껴져.
정말 대단해!"
무의식 속 긍정적인 행동을 칭찬하라
"너 정말 배려심이 깊구나."
관계까지 포함한 칭찬을 하라
"좋은 친구들 덕분인지 네가 더욱 성장한 것 같아.
칭찬은 단순한 말이 아니라 상대방의 자아를 형성하고,
행동을 변화시키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한국인의 관계 중심적인 문화를 이해하고,
이를 반영한 올바른 칭찬법을 적용하면 더 효과적인
소통과 긍정적인 조직 문화 형성이 가능합니다.
올바른 칭찬을 통해 주변 사람들에게 긍정적인
영향력을 미쳐보세요!
'일본회사근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 잘하는 사람의 조건과 정삼각형 법칙: 조직에서 성공하는 방법” (2) | 2025.04.18 |
---|---|
일본 개인주의 vs 한국 집단주의, 문화 차이 완벽 비교 (8) | 2025.03.09 |
일본식 매뉴얼 문화, 한국 사회에 미친 부정적 영향 분석 (0) | 2025.03.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