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본회사근무

“일 잘하는 사람의 조건과 정삼각형 법칙: 조직에서 성공하는 방법”

by 동경35년 2025. 4. 18.
반응형

 

일 잘하는 사람은 골프도 잘친다?

대답은 NO입니다.

23세에 호리바 제작소를 창업하여 자동차 배기가스 측정기로

세계시장을 석권한 경영자이면서
의학박사 학위도 취득한 이색적인 경력을 가진 호리바씨가

쓴 직장인 행동지침서,
"일 잘하는 사람, 일 못하는 사람"

한국에서도 수년 전에 번역되어 출판된 걸로 알고 있습니다.

반응형

 

 

이 책에서 저자는 일 잘하는 사람들을 두루 만나보고,
어느 회사에나 있을 법한 직장인 유형 100여 가지를 특유의 명쾌하고

직설적인 문장으로 재미있게 구분하여
여지껏 가지고 있던 "일 잘하는 사람의 고정관념"을

뒤집어 놓아 일본에서는 상당한 화제가 된 책입니다.

 

일 잘하는 사람- 성격:

결론 도출이 빠른다/허풍이 세고 모든일에 손을 댄다

/조금의 성공으로는 만족 하지 않는다/

사람을 구분 하지 않고 만난다/ 가능성이 낮은데 도전 한다.

 

-일 못하는 사람- 성격:

결점을 고치려고 노력한다/좋은사람이라고 불리며 적이 없다

/돌다리도 두둘기고 건넌다/ 감정 표현이 없다/

모든일은 자신이 한다.

 

일 잘하는 사람- 능력:

치밀하게 계획을 세운다/장단점이 확실하다/

시류를 잃는것이 빠르다/아이디어가 끊임없다

 

일 못하는 사람- 능력:

흥미가 아니고 노력으로 일한다/상사의 마음을 잃지 못한다/

시간을 잘 활용 하지 못한다/ 여사원에게 인기가 없다.

 

일 잘하는 사람- 노력:

윗사람과 자주 만나려고 한다./정보 수집에 열심이다/

인맥을 잘 만든다.

 

일 못하는 사람- 노력:

밴런스 감각을 중시 한다/그늘진곳에서 진력을 다한다/

별일도 없는데 빨리출근 한다.

 

일 잘하는 사람- 습관:

자기업적을 과장 해서 말한다/접대를 받으면 반듯이 갚는다/

반대의견에는 철저히 논쟁 한다.

 

일 못하는 사람- 습관:

사내 정보통으로 통한다/무슨일이 있으면 회의를연다/

네일 내일을 구분 한다.

 

일 잘하는 사람- 발언:

철저히 ''모난돌''이 된다 /권리는 반듯이 찾아먹는다.

 

일 못하는 사람- 발언:

설명을 잘 못한다/지시를 받고 질문은 많이함.

 

일 잘하는 사람- 태도:

부하를 신뢰 한다/언제나 중요한 부서만 희망 한다/

전부 ''내공''이라고 주장 한다.

 

일 못하는 사람- 태도:

부하를 꾸중 하지 않는다/자기가 입안한 일만 열심히 한다/

상사에 칭찬에 일회일비 한다.

 

일 잘하는 사람- 사고방식:

문제 발생 즉시 상사에게 보고 한다/실패의 원인을 분석 한다.

 

일 못하는 사람- 사고방식:

잔업을 당연히 생각 한다/ 동료의식이 강하다.

 

일 잘하는 사람- 사고방식:

용꼬리가 되기보다 닭머리가 되기를 원한다/

출세욕망을 숨기지않는다. 

 

일 못하는 사람- 가치관:

애사 정신을 강조 한다/자신의 월급을 타사와 비교 한다.

정삼각형 법칙?

회사뿐만 아니라 조직 속에서 ‘정삼각형 법칙’이라는

개념이 있습니다.
먼저 삼각형의 밑변을 "일의 양"에 비유합니다.

이 선이 10센치라면, 왼쪽 위로 뻗는 선도 10센치가 주어집니다.


이 선은 "권력, 권한"이고, 동시에 오른쪽 선도 10센치 뻗어 나갑니다.

이 선은 "책임"입니다.

제일 먼저 일의 "질"이 아닌 "양"에 비례해서 권위를 부여받고,

그만큼 책임이 따르는 것.
이것이 "정삼각형 논리"입니다.

 

정삼각형을 크게 만들고 싶다면

제일 먼저 일의 양을 늘리는 것입니다.

 

그런데

일이 10센치인데 권위는 20센치, 책임도 말한 것에 비례해 20센치가 되면…
결과적으로 뾰족한 삼각형이 되어버립니다.

그건 조직에서도 위험한 형태입니다.

 

"정삼각형의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 좋은 직장 생활이 아닐까요?
"정삼각형"을 유지해 보세요.


당신 회사의 상사는 어떤 사람입니까?

아니, 당신이 경영자라면 어느 쪽입니까?

자~ 그럼, 골프는?

위에 내용을 찬찬히 보시고, "만약 골프를 한다면 누가 더 잘할 것 같은가?"
한번 생각해보시기 바랍니다. 주위에 아시는 분과 비교해서 생각해보세요.
새삼 그 사람의 본모습이 제대로 보일 수도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