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사

언론 징벌적 손해배상제도, 필수인가? 위축인가?

by 동경35년 2025. 7. 12.

최근 언론개혁의 핵심으로 떠오른 ‘징벌적 손해배상제도’.
많은 사람이 이렇게 말합니다.

“보도는 정확한 팩트체크가 기본 아닌가?”
“의혹제기만으로도 개인과 단체는 돌이킬 수 없는 피해를 입는다.”

실제로 기소조차 되지 않거나, 재판에서 무죄가 나와도
이미 언론 보도로 만들어진 이미지와 낙인은 회복 불가한 경우가 많습니다.

 

징벌제도의 필요성

허위·조작 보도를 막고 피해자를 실질적으로 구제할 수 있다.

언론이 팩트체크를 더욱 철저히 하게 만든다.

 

반대 측의 우려

‘위축 효과(Chilling Effect)’ 우려

의혹제기조차 소송 대상이 될까 두려워 권력 감시 기능이 약화된다.

정치·경제 권력이 언론을 통제하는 수단으로 악용될 수 있다.

 

결론

징벌적 손해배상제도는 필요하다.
하지만 그 적용 범위와 요건을 명확히 해야 한다.

의도적 허위·조작 보도
중대한 팩트체크 부실
반복적, 조직적 가짜뉴스 생산

이런 경우에 한해 강력히 적용하고,
선의의 오보나 합리적 의혹제기까지 위축되지 않도록
법적 장치와 언론 윤리 개선이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입니다.

언론의 자유는 ‘무책임’을 보장하는 것이 아니며,
징벌적 제재는 ‘침묵’을 강요하는 수단이 되어서는 안 됩니다.

 

 

다만 지금의 언론을 보면 국민의 알권리 보다는

실익만 따지는것 같습니다.

취제를 않하고 그저 받아쓰기 질문없이? 언론개혁 징벌적제도를

저 개인적으로는 강력이 주장 하는 바 입니다.

 

 

유튜브채널

 

https://www.youtube.com/shorts/f9wI9NmFnjQ